가평군, 호우 예비특보 대응에 전 행정력 총동원…“재해 예방 모범 사례” 호평

비 피해는 없어…야영객 대피·현장 예찰 등 선제적 대응 체계 빛나

 

양평군= 주재영 기자 | 가평군(군수 서태원)은 3일부터 4일 새벽까지 발효된 호우 예비특보에 대응하기 위해 전 공직자가 비상근무에 돌입, 선제적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며 주목을 받았다. 비록 큰비는 내리지 않았지만, 철저한 대비로 재해 예방의 모범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기상청은 3일 밤부터 4일 새벽 사이 경기북부에 시간당 최대 50mm의 집중호우 가능성을 예고하며 호우 예비특보를 발표했다. 이에 가평군은 같은 날 오전부터 자체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하고, 상황 종료 시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았다.

 

휴일임에도 가평군은 실무 부서 및 읍·면 공직자들을 현장에 배치하고, 나머지 인력은 대기 체제에 돌입했다. 특히 하천변과 계곡, 산사태 우려 지역, 야영객 밀집 지역에 공무원을 투입해 밤늦게까지 예찰 활동과 대피 유도, 철수 여부 확인 등을 세심하게 실시했다.

 

가평읍 경반리, 용추계곡, 개곡교, 두밀리 등 물놀이와 캠핑객이 많은 지역에서는 사전 안내를 통해 야영객을 안전지대로 이동시키고, 가평읍 상색리·산유리·이화리 등 산지 인근 주민들에게도 사전 대피를 독려했다.

 

청평교와 조종면 상판리, 북면 소법리 등지에서는 공무원들이 직접 주민과 야영객을 찾아 이동을 안내하고,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행정력을 집중했다.

 

김미성 부군수는 “집중호우는 언제 어디서든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며 “야간 대피는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사전에 철저히 철수를 완료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서태원 군수는 “이번 호우 예비특보는 피해가 없었다는 결과보다, 행정이 선제적으로 모든 역량을 투입해 대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7월 집중호우 피해의 교훈을 바탕으로 언제든지 철저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