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나병석 기자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는 지난 27일 수원 팔달구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정조대왕능행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전략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정조대왕능행차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 그리고 화성특례시의 정책적 역할에 대한 의견을 적극 개진했다.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공동 주최하고, 김도훈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이 주재했다. 토론회에서는 정조대왕능행차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정책적‧행정적 과제를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발제자로 나선 허용호 한국민속학회 회장(경주대 특임교수)은 ‘정조대왕능행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며, 정조대왕능행차가 지닌 역사성과 공동체적 의미를 심도 있게 분석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화성특례시 조승현 대변인을 비롯해 학계 전문가들과 관계 공무원들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조승현 화성특례시 대변인은 토론에서 “정조대왕능행차를 특정 기초자치단체가 독점하려는 것은 편협한 발상”이라며 “정조대왕이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 담을 수 있는 인물인가?”라는 문제의식을 제기했다. 그는 “정조대왕능행차는 화성시와 수원시는 물론 경기도와 서울시가 함께 협력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K-콘텐츠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조 대변인은 “정조대왕능행차를 단순한 ‘축제의 형식’으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효(孝)라는 윤리적 가치와 애민(愛民)‧민본(民本)의 정치철학을 담은 ‘콘텐츠’로 규정하는 것이야말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최적의 전략”이라고 제시했다.
한편, 화성특례시는 정조대왕능행차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 위한 다양한 문화정책을 추진 중이며, 향후 경기도 및 관련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유네스코 등재 추진을 본격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