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일보 주재영 기자 | 경상남도는 1일 경남도청 도정회의실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 혁신제조 기술개발 및 한-미 원자력 협력(마아가 MAAGA 프로젝트) 대응’을 주제로 경남 원자력산업 산학연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첫 기획 회의(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도가 건의하고 정부에서 확정한 소형모듈원자로(SMR) 대량생산 체계 구축을 위한 혁신제조 기술개발과 한-미 원자력 협력 확대에 따른 기회요인을 점검하고, 경남형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개최됐다.
최근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로 소형모듈원자로(SMR) 혁신제조 기술개발 사업의 신속한 추진이 가능해지면서, 도는 정부 정책에 맞춰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 혁신제조 국산화 기술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혁신제조 국산화 기술개발 사업은 핵심 기자재의 국산화와 제조기술 확보를 위해 △초대형 일체화 성형 장비(PM-HIP, Powder Metallurgy - Hot Isostatic Pressing) 구축 △전자빔용접(EBW, Electron Beam Welding) 기술개발 △적층(3D 프린팅, Additive Manufacturing) 제조 기술개발에 2026년부터 2031년까지 6년간 총 2,695억 원(국비 1,129억 원, 기타 1,566억 원)이 투입된다.
지난 한-미 정상회담 직후 진행된 한-미 원전기업 간 협력 업무협약(MOU)으로 기초가 마련된 글로벌 한-미 수출 동맹에 발맞춰, 도는 지역 원전기업의 수출 기회 확대, 글로벌 공급망 강화 등에 대한 실질적 성과 창출 방안도 논의했다.
도는 두산에너빌리티·한국수력원자력과 미국 엑스-에너지(X-energy)·아마존웹서비스(AWS) 간 소형모듈원자로(SMR) 설계·건설·시장 확대 협력이 도내 원전 중소기업의 기술·제조·검증 분야 참여가 넓혀지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엑스-에너지 외 뉴스케일파워, 테라파워 등 소형모듈원자로 기술개발에 앞선 미국 내 소형모듈원자로 선도기업과도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도는 이번에 구성된 협의체를 ‘원전기업 신속지원센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혁신제조 기술개발 경남 워킹그룹’과 연계 운영해 경남을 글로벌 소형모듈원자로(SMR) 제조 클러스터로 조성하기 위한 △기업지원(금융지원, 제도개선), △수출확대(인증취득, 수출시장참여), △기술개발(제작,시험검사및기술기준) 등 3개 분야별 세부 과제들을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 협의체는 속도감 있는 논의를 통해 소형모듈원자로(SMR) 글로벌 선도국 도약을 위한 세부 실행방안을 정부 정책으로 건의하기로 했다.
인공지능(AI) 시대의 전력수요 급증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대안으로 소형모듈원자로(SMR)가 주목되는 가운데, 경남은 △SMR 혁신제조 기술개발, △국제 인증·규제 대응, △수출계약·금융 지원, △전문인력 양성사업 추진을 통해 기존 제조 기술력 격차를 더욱 강화해 글로벌 원전 제조산업의 중심지로서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민간기업 주도의 글로벌 협력을 통한 수출 확대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윤인국 도 산업국장은 “정부의 SMR 혁신제조 추진 확정과 한-미 원자력 협력 확대라는 중요한 변곡점에 맞춰, 경남형 실행전략과 기업 애로 해소 방안을 구체화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한‑미 원자력 협력 실행방안을 토대로 산학연관 협의체가 한 팀으로 움직여, 경남이 대한민국 원전 수출의 거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