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환 고양시장, COP15서 장항습지 보전성과 알리고 국제협력 제안

ADB “장항습지 현장서 고양시 노력 체감”… 협력 확대 논의
ZBC·헤럴드 인터뷰서 보전 인식 확산 강조… “시민 자발성, 가장 큰 자산”

 

고양특별시= 주재영 기자 |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제15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 참석하기 위해 아프리카 짐바브웨를 방문한 가운데, 장항습지의 생태적 가치와 시민참여형 보전정책을 국제사회에 적극 알리며 UNDP 및 아시아개발은행(ADB)과의 협력 강화를 제안했다.

 

이 시장은 24일(현지시간) 총회장 내 유엔개발계획(UNDP) 부스를 찾아 짐바브웨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고양시의 생태정책을 소개했다. 그는 “장항습지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보전된 세계적으로 드문 도심형 람사르 습지”라며, “UNDP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고양시가 글로벌 보전정책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UNDP는 환경, 에너지, 소득향상 등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유엔 산하 조직으로, 기후위기와 생태계 보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어 이동환 시장은 아시아개발은행(ADB)의 던컨 랭(Duncan Lang) 선임환경전문가와도 면담을 갖고, 고양시와 ADB 간 실질적인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던컨 랭 전문가는 “작년 11월 ADB 관계자들이 직접 장항습지를 방문해 고양시의 생태보전 노력을 확인했다”며, “ADB는 현재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P) 파트너십과 공동으로 생물다양성 및 습지 보전 활동을 활발히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이 시장은 “고양시는 도시개발과 생태보전을 조화롭게 추진하며, 시민참여를 통해 장항습지의 생태적 가치를 지켜오고 있다”며, “이러한 우수 사례가 국제사회 특히 개발도상국에 확산될 수 있도록 ADB와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이 시장은 짐바브웨 국영방송 ZBC와 유력 일간지인 헤럴드 짐바브웨와의 인터뷰도 진행했다. 그는 장항습지의 향후 관리 방향과 생태교육 전략을 소개하며, “시민이 함께 지켜온 도심 속 람사르 습지를 지속적으로 보전할 수 있도록 자발적 참여를 적극 지원하고, 작년에 개관한 장항습지생태관을 중심으로 생태적 인식 확산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COP15를 통해 고양시는 국제적인 생태도시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글로벌 보전 네트워크와의 협력 기반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