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일보=기동취재 | 광주시청 홍보실 일부 직원의 행태를 두고 공정성과 형평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시민 세금으로 급여를 받는 공무원이 특정 기자를 대상으로 개인적인 지원에 나섰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최근 시청 기자실에서는 홍보실 소속 직원이 일부 기자에게 아침마다 커피를 챙겨주거나 개인적인 심부름을 대신하는 모습이 잇따라 포착됐다. 이는 특정 언론인을 ‘관리’하거나 ‘편의 제공’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또한 행정광고와 관련해서도 특정 기자와만 내용을 공유하고, 다른 기자들에게는 비밀로 할 것을 당부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한 출입 기자는 “시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홍보업무가 특정 기자를 위한 서비스로 변질되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홍보실은 시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시정을 공정하게 알리는 본연의 임무를 맡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사례로 인해 ‘공정성 훼손’과 ‘정보 편중’ 논란이 동시에 불거졌다. 다른 기자는 “공무원이 특정 언론인에게만 혜택이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분명히 오해를 살 수 있다”며 “시민과 언론 전체를 상대로 투명하게 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안에 대해 광주시가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유사 사례 재발
기동취재= | 성남시의 행정광고 집행이 중앙 언론에 집중되면서 지역 언론사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최근 성남시가 집행한 주요 광고 예산이 중앙지에 편중되자, 지역사회 밀착 보도를 이어온 지방 언론사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반면 경기도 내 다수 지자체들은 행정광고 배분 시 지역 언론을 우선 고려하는 관행을 갖고 있어 성남시의 행태가 더욱 대비된다는 비판이다. 지역 언론 관계자들은 “지방자치의 근간은 주민과 가까이 있는 지역 언론과의 협력인데, 시장이 중앙 언론 홍보에만 치중하면 시민들이 체감할 행정 소식은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도 “광고 예산은 시민 세금으로 충당되는 만큼 투명성과 공정성이 전제돼야 한다”며 “지역 언론을 건전한 파트너로 대우하지 않는다면 행정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결국 성남시의 중앙지 편중 집행은 ‘지역 무시’ 라는 비판을 자초하고 있으며, 지역 소통보다 대외 홍보에 치중한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