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장일보=기동취재 | 광주시청 홍보실 일부 직원의 행태를 두고 공정성과 형평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시민 세금으로 급여를 받는 공무원이 특정 기자를 대상으로 개인적인 지원에 나섰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최근 시청 기자실에서는 홍보실 소속 직원이 일부 기자에게 아침마다 커피를 챙겨주거나 개인적인 심부름을 대신하는 모습이 잇따라 포착됐다. 이는 특정 언론인을 ‘관리’하거나 ‘편의 제공’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또한 행정광고와 관련해서도 특정 기자와만 내용을 공유하고, 다른 기자들에게는 비밀로 할 것을 당부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한 출입 기자는 “시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홍보업무가 특정 기자를 위한 서비스로 변질되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홍보실은 시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시정을 공정하게 알리는 본연의 임무를 맡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사례로 인해 ‘공정성 훼손’과 ‘정보 편중’ 논란이 동시에 불거졌다.
다른 기자는 “공무원이 특정 언론인에게만 혜택이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분명히 오해를 살 수 있다”며 “시민과 언론 전체를 상대로 투명하게 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안에 대해 광주시가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행정광고와 같이 막대한 예산이 수반되는 사안에서 특정 언론과의 불투명한 소통은 ‘시민 혈세의 왜곡된 집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홍보실이 공정성을 잃으면 행정 신뢰도에도 치명적 타격을 준다”며 “즉각적인 조사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주시청은 이번 논란과 관련해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그러나 사안의 성격상 단순한 해프닝이 아닌 제도적·구조적 문제로 번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시의 적극적인 대응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