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 주재영 기자 | 경기도의회 이자형 도의원은 지난 9일 광주 친환경농업인연합회(회장 김병련) 회원들과 정담회를 열고, 경기도교육청의 ‘친환경 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에 따른 지역 농가 피해 우려와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7월 23일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 업무처리 개선사항’ 공문을 각 학교에 시달했다. 주요 내용은 ▲동일 공급업체와의 연간 수의계약 5회 제한 ▲구매 계약 기간 확대(1개월→2개월·분기별) ▲농축수산물 공동구매 권고 등이다. 교육청은 이를 예산 절감, 공급업체 다양화, 계약 투명성 제고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친농연은 이번 변경안이 ▲가격 경쟁 심화 ▲지역 친환경 농산물 공급 기반 붕괴 ▲20여 년간 구축한 친환경 급식 체계 훼손 가능성 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특히 기존 수의계약 체계는 지역 농가와의 안정적인 거래로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해왔는데, 경쟁입찰로 전환되면 저가·저품질 식재료 유입과 친환경 농가의 재배 포기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반발이 확산되자,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7일 긴급 간부회의를 열어 개선안 시행을 전면 보류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친환경 농업 기반과 급식 체계 붕괴에 대한 불안감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자형 도의원은 “친환경 급식은 학생 건강, 교육복지, 지역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지키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단기적인 비용 절감보다 장기적인 공공성과 안정성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졸속 추진은 현장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는 만큼, 이번 정담회에서 나온 의견이 정책과 예산에 반영되도록 도의회 차원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