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시=주재영 기자 | 성남시(시장 신상진)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포트홀과 도로 위 낙하물 등 각종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AI 기반 도로관리시스템을 도입해 운영 중이라고 6일 밝혔다.
이번 시스템은 시내버스를 활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식이 핵심이다. 지역 내 주요 시내버스 노선 차량 14대에 총 53대의 AI 도로 위험정보 수집 단말기를 부착해, 버스 주행 중 도로 상태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위험 요소를 포착한다. 수집된 정보는 정밀 분석·가공돼 웹과 모바일 웹을 통해 도로 보수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성남시는 해당 시스템을 지난달부터 본격 운영했으며, 내년 1월까지 시범 운영 기간을 거쳐 시스템의 실효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버스가 운행되지 않는 도심 외곽 구간 등은 드론을 활용해 보완적으로 도로 상태를 점검한다.
시는 이번 AI 시스템 도입을 통해 민원에 의존하던 기존 도로 관리 체계에서 벗어나, 과학적이고 선제적인 도로 관리 체계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시민 불편을 줄이고 도로 안전 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남시 관계자는 “실시간 도로 위험 대응 체계는 시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AI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도로관리는 교통사고 예방은 물론, 도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 등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시범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적용 지역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